경력증명서 발급법 총정리

이직, 자격증, 대출까지… 경력증명서로 증명하세요

직장을 옮기거나 자격증을 신청할 때, 혹은 금융기관 대출 심사를 받을 때 경력증명서는 필수 서류입니다. 재직 중이든 퇴사 후든, 정확하게 본인의 경력을 증명할 수 있어야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.

퇴사 후 요청? 발급 방법을 몰라 당황하는 경우 많습니다

많은 이들이 퇴사 후에야 경력증명서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고, 막상 회사에 연락하자 퇴사 후 시간이 너무 지났거나, 담당자가 변경되어 곤란을 겪습니다. 심지어 회사가 폐업했거나 연락이 두절된 경우에는 더욱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.

 

 

경력증명서 발급법


회사, 정부24, 국민연금공단까지 다양한 발급 경로

경력증명서는 기본적으로 소속 회사의 인사부서에 요청하면 발급이 가능하며, 공공기관 재직자라면 정부24를 통해 온라인으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 만약 회사가 폐업했거나 연락이 어려운 경우에는 국민연금 가입증명서를 대체 서류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.

 

 

퇴사 3년 이내라면 반드시 발급 가능합니다

근로기준법 제39조에 따라, 근로자는 퇴직 후 3년 이내라면 경력증명서를 요구할 권리가 있으며, 회사는 이를 즉시 발급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. 이 법적 근거를 모르고 있다면 불이익을 당할 수 있으니 꼭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.

미리 준비하면 훨씬 수월합니다

경력증명서는 퇴사 후 급하게 요청하기보다, 재직 중 미리 발급받아 두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. 이직, 자격검정, 이자율 우대 대출까지... 경력은 당신의 경력 그 자체이자 ‘신뢰의 증거’입니다.

 

 

다음 이전